<aside> 💡 NOTE
관련 정보를 이름을 가지고 접근한다. 일반적으로 비휘발성의 보조기억장치에 저장한다. OS는 저장 장치들도 file이라는 논리적 단위를 이용해 관리한다. = device special file이라고 부른다.
File Attribute(Metadata) : 파일 자체의 내용이 아니라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정보들
File System : 운영체제에서 파일을 관리하는 부분, 메타데이터, 디렉토리 정보를 관리
Directory
Partition (논리적 디스크)
open() : 메타데이터를 여는 과정
metadata를 통해 파일 위치를 찾고,
내용을 보내준다. 그리고 read를 할때는 copy해서 보여준다. = 버퍼 캐싱
프록시와 같이 다수의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 주기 위해서
버퍼 캐싱과 같은 작업을 처리할 때 모든 업무를 시스템콜을 통해 OS에서 한꺼번에 관리하기 때문에 LRU, LFU 와 같은 알고리즘을 구현할 수 있다.
게다가 프로세스마다 각자의 별도의 PCB를 가지고 관리함으로써 각자의 환경을 유지해야한다.
File Protection
Access Control
모든 관리를 테이블을 통해 관리하는 방법
→ Linked List를 통해 만들 수 있다.
→ 파일별로 누구에게 어떤 접근 권한이 있는지 표시
→ 사용자 별로 자신이 접근 권한을 가진 파일 및 해당 권한 표시
하지만 모두 사용 방법이 비효율적이다. → Grouping 방법을 사용한다.
비트를 통해서 관리하는 방법을 사용한다. 커널 chmod 999와 같은 방법
password : 파일마다 password를 통해 관리 → password를 암기하고 관리하는 것이 어렵다.
클라우드에서는 password로 root권한에 대해 관리하고, 내부적인 포트 별, 파일 별로 사용자별, rwx를 관리하고 있다.
접근 방식
<aside> ✍️ NOTE
</aside>